|
 |
아름다운 얼굴의 기준은 무엇일까요? 많은 기준들이 있겠지만 가지런하고 하얀 치아야 말로 아름다운 얼굴을 판단하는 기준이 될 것입니다.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이 좀 더 가지런한, 보기 좋은 치아를 얻기 위해 치아 교정을 생각하게 됩니다. 하지만 모든 교정이 미용을 이유로 이루어 지는 것은 아닙니다. 교정치료의 가장 큰 이유는 고른 치아보다 칫솔질이 어렵기 때문에 충치가 생기거나 잇몸에 병이 생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. 그리고 소화의 첫 단계인 저작단계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. 치열이 고르지 못하면 적절하게 씹지 못하기 때문에 소화장애가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. 또 턱 관절 질환도 호발 되는데 위의 턱과 아래의 턱을 연결하는 턱 관절과 그에 연관된 근육 및 신경에 비정상적인 힘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. | |
부정교합은 치아 우식증, 치수질환과 더불어 3대 치과질환 중 하나입니다. 일반적인 분류기준은 상하악 제1대구치의 접촉관계에 따라 정상교합과 부정교합으로 분류하며, 부정교합은 상악이 앞으로 심하게 나오는 상악전돌부정교합과 하악이 나오는 하악전돌부정교합으로 나뉩니다. 또는 원인에 따라 선천성 부정교합과 후천성 부정교합으로 나뉘게 됩니다. |
 |
교합(occlusion)이란? |
 |
|
아래위 치아가 맞물리는 관계를 말하며 정상이란 긴밀하게 물리는 경우를 말하며 치아들은 톱니바퀴처럼 맞물리는 관계가 형성됩니다. |
 |
|
|
|
분류 |
|
|
|
 |
1급 부정교합 : 어금니 관계는 1급(정상)관계이나 치아가 삐뚤삐뚤한 부정교합 |
|
 |
2급 부정교합 : 아래 어금니가 위의 어금니보다 뒤쪽에 위치하는 부정교합으로 어린 시절 손가락을 빨았을 경우 심해질 수 있음. |
|
 |
3급 부정교합 : 아래 어금니가 위의 어금니에 비해 심하게 전방에 위치한 부정교합. 주걱턱이라고도 함. |
| |
|
|
|
일정기간 치아의 뿌리를 압박하면 그 곳의 뼈가 흡수되고 반대편 뼈는 새로운 뼈가 생깁니다. 이것이 치아교정의 원리입니다. 턱뼈에 압력을 가하면 턱뼈를 늘릴 수 있는데, 턱뼈는 잡아당기면 당기는 방향으로 자라나고, 밀면 뒤로 들어갑니다. 이와 같은 원리로 치아도 밀면 움직인다는 것을 이용, 치아를 원하는 곳으로 조금씩 움직이는 것입니다.
|
신체의 성장이 급속하게 일어나는 시기는 6세에서 12세 경으로 남자는 18세경, 여자는 15세경이 되면 성장이 끝나게 되는데요. 6세에서 12세 경에 교정치료를 받는다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.
|
 |
|
|
|
 |
자라면서 더 부정교합이 진행되는 것을 예방합니다. |
|
 |
치아의 공간을 제대로 확보할 수 있습니다. |
|
 |
턱 관절에 공간이 있어 턱의 전후방 이동이 쉽습니다. |
|
 |
구강 조직의 반응이 좋아 재생이 쉽고 재발이 적습니다. | |
|
|
 |
예방 교정치료 |
 |
|
성장하는 아이의 턱뼈 위치를 바로 잡고 영구치 자리를 마련하는 치료로 나쁜 습관을 없애주는 치료입니다. 기간은 3~6개월 정도 소요되며, 지시를 잘 따르지 않는 경우 14개월 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. 예방 교정치료의 적절한 시기는 12세 이전으로 영구치가 처음 날 때에는 뼈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쉽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며, 만약 성인이 된 후 교정을 하기 위해서는 턱뼈를 넓히는 수술을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. | |
 |
 |
 |
붙이는 교정장치 |
 |
|
- 일반적인 금속교정장치 : 흔히 사용되는 교정장치 입니다. - 투명 교정장치 : 금속교정장치와 비슷하나 투명해 눈에 잘 보이지 않습니다. - 설측 교정장치 : 눈에 보이지 않게 이 안쪽으로 교정장치를 하는 것으로 초기 이물감과 발음 장애가 있을 수 있습니다. 하지만1,2주 이내에 적응되며 ㄷ,ㅌ,ㅅ 같은 설치음의 경우 장애를 받지만 연습을 쉽게 극복할 수 있습니다. |
 |
가철성 교정장치 |
 |
|
환자 스스로 직접 꼈다 뺐다 할 수 있는 틀니 모양의 교정장치로 치아의 삐뚤어진 정도가 심하지 않을 때, 성장기 아동의 예방 목적으로 사용합니다.
|
 |
|
|
|
가철성장치 사용 시 주의점 |
|
|
|
 |
착용 시에만 교정력이 작용되기 때문에 교정의사가 가르쳐 준 법을 잘 따라야 합니다. |
|
 |
식사 후에는 꼭 세척하도록 합니다. |
|
 |
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보관함에 보관하도록 합니다. (쉽게 휘어짐) |
|
 |
장치를 뜨거운 물에 넣거나 뜨거운 곳에 두면 장치가 휘거나 타게 되므로 주의합니다. | |
|
|
 |
교정용 고무줄 |
 |
|
치아를 뒤나 앞으로 움직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입니다. 주로 마지막 단계에서 많이 사용되며 아래 위 치아들이 맞물리는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24시간 착용해야 합니다. 식사 시와 양치 시에는 뺄 수 있으며 교합개선 위해 꾸준한 착용이 매우 중요합니다. 고무줄 착용 시 처음 1주일은 통증이 있을 수도 있으므로, 통증이 심한 경우 진통제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. | |
 |
 |
- 칫솔질에 주의하세요. 물론 교정치료 중이 아니라도 칫솔질은 잘 해야 하지만 복잡한 교정장치가 치아에 붙어 있는 기간 동안은 특히 신경 써야 합니다. 칫솔질을 꼼꼼하게 하지 않으면 충치나 잇몸 질환이 생기기 쉽습니다.
- 음식에 신경 쓰세요. 딱딱하거나 질긴, 끈적거리는 음식은 교정용 철사를 변형시키거나 장치를 떨어지게 만드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땅콩이나 오징어 입니다. 얼음이나 사탕을 깨물어 먹는 것도 교정치료 중에는 좋지 않습니다.
- 병원의 지시사항을 잘 따라 주세요. 병원에서 지시한 대로 고무줄이나 장치를 잘 끼우는 것은 교정치료시간 단축과 바른 교정을 위해 중요합니다. |
|
| |
|